분류 전체보기 565

남아공 대통령이 왜? “종업원 소유권 적극 지원!”

남아공 대통령이 왜? “종업원 소유권 적극 지원!”  “노동자 주식 소유제는(worker share ownership schemes)더 큰 사회 정의를 만들려는 투자입니다.기회 균등과 역사적 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도,생산성 향상과 성장을 위해서도 필요합니다.노동자와 기업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포용적 성장을 진전시킬 수 있어요.” 남아프리카공화국의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이종업원 소유권을 적극 지원하겠다고직접 선언했습니다.인종 갈등과 경제적 불평등으로어려움에 처한 남아공이 왜,그것도 대통령까지 나서서노동자 소유권을 강조할까요.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연설문 바로가기   2024년 4월23일남아공의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는제1회 종업원 주식 소유권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참석자요?대통령을 비롯해 여러 각료,기업과 노동..

경제민주 이슈 2024.05.13

아버지가 물려준 회사, 3형제는 직원들에게 다시 물려줬다

아버지가 물려준 회사, 3형제는 직원들에게 다시 물려줬다  1959년 톰 맥기라는 영국 사업가는런던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특수 건설업체맥기(McGee Group)를 설립했습니다.히드로 국제공항의 대형계약,교량이나 발전소의 개조와철거 등으로 큰 돈을 벌었죠.1994년에는 세 아들인마이클·브라이언·존 맥기 형제에게경영권을 넘겼습니다.   3형제 기업주는아버지의 회사를 잘 발전시켰습니다.축구 경기장인 웸블리 스타디움 등런던의 대표적인인프라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연매출을 1억 파운드,약 1700억 원으로 늘렸어요.2020년 5월 맥기 그룹의 3형제 기업주는뜻밖의 결정을 했습니다.아버지에게 물려받은 회사를375명의 직원들에게 넘기기로 했어요.3형제 중 한 명인브라이언 맥기 회장이 밝힙니다. “제3자에게맥기 그룹을 ..

<포브스> 칼럼 “어린이 수영학교, 왜 직원 소유가 되었나?”

칼럼 “어린이 수영학교, 왜 직원 소유가 되었나?”  현재는 160여 명의 직원들이 있지만30년 전 미렌 오카 창업자는갓 아이를 낳은 젊은 엄마였습니다.미국 마이애미에서 이민자 2세로 자랐는데대학을 다니던 중에 임신을 하고 말았어요.오카 창업자가 칼럼에 밝힙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벌써 30년이라니,세월은 짧지만 하루하루는 길었네요.일단 아이를 먹여 살려야 했어요.엄마이기 때문에 대학교는 쉬고생계를 유지할 방법부터 찾았습니다.수영학교를 만들 때도 별 생각이 없었어요.당장 수입이 급했으니까요.” 휴학생 엄마 창업자의 생각은점차 달라집니다. “시간이 지나고헌신적인 직원들로 팀을 만들면서리더십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공부도 하고 연구도 했어요.사람들을 다르게 대우하고발전시키고자 했습니다.직원들은 자신..

중기부의 기업승계 전략, 영·미처럼 종업원 승계 지원하길

중기부의 기업승계 전략, 영·미처럼 종업원 승계 지원하길  중소벤처기업부가친족 승계가 곤란한 경우인수·합병(M&A) 등 옵션을 지원하는중소기업 승계 방안을 추진키로 했습니다.지난 4월29일 중기부는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중소기업 도약 전략’을 발표하고,원활한 승계 지원을 위해‘중소기업 기업승계 특별법’도만들기로 했습니다.   일부에서는 종업원들의 기업 승계 역시중기부 옵션에 들어간다고 보도하지만방점은 역시M&A 활성화에 찍힌 듯합니다.실제로 중기부는 중소기업이M&A 방식의 기업승계를 바랄 경우중앙정부·지자체, 민간업체를 연계한컨설팅과 매칭·중개,경영통합까지 지원하겠다고 합니다. 그동안 정부가‘부의 대물림’을 조장하는상속세 완화만 고집하던 것에서는조금 나아졌을까요.고령화로 기업주들 역시대거 물러나게 되는..

경제민주 이슈 2024.05.02

노동절: 노동조합과 종업원 소유권은 어울릴까?

노동절: 노동조합과 종업원 소유권은 어울릴까?  “미국에서 노동조합 설립이늘어나고 있습니다.ESOP이라고 하는‘종업원 주식 소유제’ 역시 마찬가지예요.이유가 무엇일까요.노동조합은 종업원 소유권과양립할 수 있을까요?” 미국의 종업원 소유권 전문 컨설팅 기업인베릿 어드바이저(Verit Advisors)의메리 조셉스 CEO가에 이렇게 기고했습니다.조셉스 CEO는 30년 가까이종업원 소유로 바뀌는 일반 기업을 자문하며약 200건, 총 70억 달러의선순위 신용을 조달해왔죠.조셉스 CEO의 칼럼 바로가기  5월1일은 노동절(근로자의 날)입니다.여러 행사와 집회가 있을 예정이죠.불평등과 양극화가갈수록 심화되는 상황에서이번 노동절이뜻 깊은 장이 되었으면 합니다.그런데 노동조합과 종업원 소유권이라니,잘 어울릴 것 같기..

경제민주 이슈 2024.04.29

40년 키운 사업체의 다음 주인, 자식도 대기업도 아니었다

40년 키운 사업체의 다음 주인, 자식도 대기업도 아니었다  1985년 세일즈맨이던 톰 휠러 씨는미국 매사추세츠의 한 도시에서동물 사료, 식품, 여러 잡화를 취급하던사업체를 인수했습니다.오랫동안 믿고 거래하던 고객은자신이 운영하던 점포를기꺼이 팔고 외지로 떠났어요. 어려서부터 휠러 씨는다양한 동식물을 돌보며 자랐습니다.MBA 학위도 있었지만학사와 석사는동물에 관한 학문으로 받았어요.새로 인수한 매장에서 휠러 씨는일요일도 없이 일하며자신의 꿈과 구상을 실현했습니다.다양한 반려동물과 식물용품을 들이고,잔디 및 정원 관리로 시장도 넓혔어요.톰 휠러 사장이 말합니다.   “고객들에게 최고의 제품을선사하고 싶었어요.반려동물이나 야생조류를어떻게 돌봐야 하는지,마당과 정원은 어떻게 가꿔야 하는지함께 알려드렸습니다.네..

미국 매체 “노동자 소유주들의 부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 매체 “노동자 소유주들의 부가 급증하고 있다” “ESOP-종업원 주식 소유제도가 떠오른다 (ESOPs are on the rise).” 미국에서 각광받는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Axios)가 지난 3월 중순 종업원 소유제의 급부상을 다뤘습니다 (위의 인용문은 기사 목록에 나온 소개 글). 3016년에 문을 연 악시오스는 우리나라 언론도 심심치 않게 인용하는 주요 매체죠. 2020년에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을 단독 인터뷰해서 다음해 에미상을 받기도 했답니다. 미국에선 ESOP(이솝)이라고 하는 종업원 주식 소유제가 발달했습니다. 우리의 우리사주제와 달리 ESOP에선 노동자 대신 회사가 모든 자금을 부담하죠. ESOP이 3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할 경우 여러 파격적인 세제 혜택이 존재합니다. 덕분에..

경제민주 이슈 2024.04.22

평범한 제조회사 “직원들을 수십억 부자로 만듭니다”

평범한 제조회사 “직원들을 수십억 부자로 만듭니다” 1300명이 일하는 평범한 제조업체가 회사의 특이한 목표를 밝힙니다. “우리 회사는 직원들의 재정적 안녕을 위해 존재합니다. 그게 바로 우리가 일하는 원동력이에요. 더 많은 직원을 확보해서 재정적인 보장을 제공하는 거죠. 이렇게 하면 극한으로 이윤을 추구하지 않아도 회사는 꾸준히 성장하게 됩니다.” 1988년 미국에서 설립된 센트럴 스테이트는 (Central States Manufacturing, Inc.) 건축 관련 금속 자재를 만듭니다. 열한 곳에 제조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자체 트럭으로 직접 배달도 하죠. 첨단기업은 아니고 이렇다 할 특허도 없어요. 직원들을 부자로 만들겠다는 목표는 좋지만 정말 가능할까요? 네, 실제로 가능하다고 하네요. 2022년..

한미약품, 경영권, 상속세, KKR.. & 종업원 소유권?

한미약품, 경영권, 상속세, KKR.. & 종업원 소유권? 한미약품과 지주사 한미사이언스 등 한미그룹 오너 일가의 경영권 분쟁이 일단락된 듯하지만 아직 걸림돌이 많다고 합니다. 한미그룹 오너 일가의 2700억 원에 달하는 잔여 상속세 납부도 문제라고 하네요. 세계적인 초대형 사모펀드 KKR이 한미그룹 오너 일가의 지분을 매수할 수 있다는 보도도 나옵니다. 일각에서는 과도한 상속세를 완화하자는 주장도 나옵니다. 그러나 오너 일가라는 이유로 수천억 원의 세제 혜택을 주고 ‘부의 대물림’을 용인하는 것 또한 불공정하죠. 그렇다고 기업 승계 문제를 이대로 방치하면 자칫 회사와 직원과 주주들의 이익을 희생한 채로 사모펀드의 배만 불릴 수 있으니 또한 문제가 됩니다. 회사와 직원들의 미래와 주주 가치를 지키면서 기..

경제민주 이슈 2024.04.15

종업원 소유회사 “20년 일했으면 100만 달러(13억원)는 받아야”

종업원 소유회사 “20년 일했으면 100만 달러(13억원)는 받아야” 8년 전 라이언 토마스 씨는 미국의 전기 및 태양광 설비회사 MVE 그룹에 들어왔습니다. 경력직인 까닭인지 회사의 상업용 전기 관리자로 입사했죠. 1973년 설립한 MTV 그룹은 여러 면에서 특이했다고 토마스 씨는 밝힙니다. “MVE의 기업 문화야말로 내가 동경하던 거였어요. 회사에 대해 입소문을 듣고 온 사람만으로 채용이 이뤄질 정도니까요. 내가 어떻게 일하느냐에 따라 내 미래가 직접 영향을 받거든요.” 자신의 노력에 따라 미래가 결정된다니,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볼까요. “우리 회사는 직원들에게 (무료로) 지분을 제공합니다. 때문에 나 자신을 위해 은퇴를 준비할 수 있어요. 출근해서 일만 하면 되죠. 현재 나의 자산 가치가 얼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