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 이슈 241

미 싱크탱크 “양극화? 종업원 소유권은 초당파적 해결책”

미 싱크탱크 “양극화? 종업원 소유권은 초당파적 해결책” 오는 5월1일은 노동절입니다만,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도경제적 불평등은 확대되고 있습니다.노동자들은 더 열심히 일하는 것 같은데어째서 그럴까요.미국의 세계적인 싱크탱크아스펜 연구소(the Aspen Institute)의맷 헬머 매니징 디렉터가한 매체 기고문을 통해 말합니다.맷 헬머 팀장의 기고문 바로가기 “노동절은 노동자들의 희생과공헌을 상기시키는 중요한 기념일입니다.우리의 경제 시스템은 점점 더노동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죠.조사에 따르면미국 유권자의 3분의 2는 기업이너무 많은 이윤을 가져간다고 생각합니다.4명 중 3명은 강력한 (기업) 이익집단 때문에경제가 불공정하다고 답하죠.” 우리나라도 그렇지만미국의 빈부격차도 심각합니다. ..

경제민주 이슈 2025.04.28

<포브스> 선정 ‘미 100대 비상장기업’의 17%는 직원 소유권 도입

선정 ‘미 100대 비상장기업’의 17%는 직원 소유권 도입 미국의 권위 있는 경제 잡지 는여러 방면에서 순위 매기기로잘 알려져 있습니다.오죽하면 ‘포브스 선정~’이라는유행어가 있을 정도죠.따지고 보면 그만큼 가세계적으로 공신력을인정받는다는 뜻이기도 할 겁니다. 최근에 는‘미국 100대 비상장기업’을 발표했습니다.(PRIVATE COMPANIES)각 회사는매출액이 최소 수십억 달러에 달하고고용 규모는 수천 명에서수십만 명에 이를 만큼 규모가 크죠. 선정, 2024 미 100대 비상장기업 바로가기 특히 ‘미국 100대 비상장 기업’ 중에17개 사는 다양한 방식으로종업원 소유권을 도입하고 있었습니다.100대 기업의 20% 가까이 되는높은 비율이죠.심지어 직원들이자사 지분의 50%를 넘게 가진 회사가 ..

경제민주 이슈 2025.04.21

‘사람’이 필수인 돌봄 서비스, 종업원 소유권이 해법

‘사람’이 필수인 돌봄 서비스, 종업원 소유권이 해법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고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자연히 행동이 불편한 어르신이나고령 환자들을 돌보는 일도 중요해졌어요.특히 인력의 도움이 필수인데,대부분의 돌봄 노동자들이저임금과 불안정 고용에 시달립니다.그럼에도 사람 손길이 많이 들기 때문에인건비 비중은 높은 편이죠.    최근 영국에서는 새로운 접근으로돌봄 노동의 문제를 극복하자는논의가 일어나고 있습니다.영국에서 가장 큰 사회복지 서비스 기관인케어 잉글랜드(Care England)는“종업원 소유권을 통해돌봄 종사자의 역량을 유지하자”며공동 보고서를 발표했어요.케어 잉글랜드의 최고 경영자로작위까지 받은 마틴 그린 교수가 말합니다.케어 잉글랜드의 관련 보고서 바로가기  “성인에 대한 돌봄..

경제민주 이슈 2025.04.14

글로벌 은행 UBS 간부 “종업원 소유권으로 세상 바꾸자”

글로벌 은행 UBS 간부 “종업원 소유권으로 세상 바꾸자”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글로벌 투자은행이라는 UBS의브라이언 헐 미국 총괄 부회장이뜻밖의 말을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소유권 공유(Shared Ownership)’의기회와 이점을 인식하도록 도와야 해요.소유권 공유는 단순히 옳은 일을 넘어서며비즈니스에도 현명한 일입니다.비전 공유, 공동의 목표와 책임이생산성을 높이니까요.” 글로벌 금융기업인 UBS는오너쉽 웍스(Ownership Works)라는비영리단체의 회원이기도 합니다.오너쉽 웍스는세계적인 사모펀드 KKR의 피트 스타브로스글로벌 사모펀드 공동대표가 만들었으며‘소유권 공유’ 모델을 전파하고 있죠.    소유권 공유란 금융기관이나 사모펀드 같은투자자, 경영진, 노동자들이함께 회사 지분..

경제민주 이슈 2025.04.07

캐나다 총리·야당 대표 “노동자들을 기업주로 만들자”

캐나다 총리·야당 대표 “노동자들을 기업주로 만들자”  “캐나다 노동자들에게 호소하는 것은(여당인) 자유당과 (제1야당) 보수당의분명한 우선 과제입니다.자유당의 마크 카니 신임 총리는지도부 토론회에서 ‘캐나다에서일하기에 좋은 시기’라고 했습니다.1월에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는‘노동자들을 사업주에게서 멀어지게 하는 대신사업주로 만들겠다’고 밝혔어요.”(instead of turning workersagainst business owners,we’ll turn workers into business owners) 2025년 3월 캐나다 언론에실린 기고문입니다.기고자는 캐나다 종업원 소유권 협회의(Employee Ownership Canada)마이클 라스 CEO와 존 쉘 이사입니다.캐나다 총리와 제1야당..

경제민주 이슈 2025.03.31

“Z세대 직원들에겐 종업원 소유권이 딱!”

“Z세대 직원들에겐 종업원 소유권이 딱!”  “미국에서 Z세대 청년 직원들을유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Z세대 청년의 83%는 스스로를‘잡 호퍼’라고 여길 정도입니다.(job hopper: 직장을 자주 옮기는 사람)다행히 종업원 소유권은Z세대 청년을 채용하고 유지하는강력한 수단이죠.청년 직원들에게매력적인 이유가 6가지나 되니까요.”    미국의 종업원 소유권 지원단체프로젝트 에퀴티가 주장합니다.(Project Equity)이 단체는 종업원 소유기업의 확산을 위해다양한 홍보·교육·실무 지원·펀드 조성·입법 활동 등을 진행하죠.우리나라 역시 MZ세대 청년 직원들의 채용과고용 유지가 문제인데,종업원 소유권이정말 매력적인 대안이 될까요(너무 길어서 다소 정리합니다).프로젝트 에퀴티의 관련 글 바로가기  1. 직원 ..

경제민주 이슈 2025.03.24

로스차일드 기고 “트럼프 대통령, 종업원 소유권 포용해야”

로스차일드 기고 “트럼프 대통령, 종업원 소유권 포용해야”  국제적인 금융 가문인로스차일드 가의 일원이에 글을 보냈습니다.주인공은투자회사 E.L. 로스차일드의 CEO이자포용적 자본주의 협의회 창립자인(Inclusive Capitalism Initiative)린 포레스터 드 로스차일드 회장입니다.특히 트럼프 대통령에게종업원 소유권 등을 촉구했는데기고문부터 볼까요.린 포레스터 드 로스차일드 회장의 기고문 바로가기 “많은 사람이 정당한 이유로자본주의를 폄하합니다.이 시스템은 가치 있는 인간들을너무 많이 뒤처지게 하죠.이런 양상은 사회나자본가에도 좋지 않아요.이제 현명하고 용기 있는 정부가정책으로 자본주의를 개혁할 때입니다.”    기고자인린 포레스터 드 로스차일드 회장은로스차일드 가문의 며느리로 남편과 함께..

경제민주 이슈 2025.03.17

삼성전자 자사주 10조원 매입&처분, 여전히 아쉽다

삼성전자 자사주 10조원 매입&처분, 여전히 아쉽다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에 들어간삼성전자가그 중 일부를 소각하지 않고임직원에게성과급 등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상당한 규모의 주식 매입분을그냥 없애버리지 않는 건 다행이지만여전히 아쉬움이 남습니다.    (협)소통은 미국 매사추세츠대윌리엄 라조닉 교수의 연구를 인용해자사주 매입의 문제점을지적한 바 있습니다.의 우수상을 받은라조닉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자사주 매입으로 막대한 회사 자금이생산적 투자에 활용하지 못하고 사라집니다.또 상위 0.1%만이 소득 증가를 누리고좋은 일자리가 없어진다고 하죠.(협)소통의 관련 글: 삼성전자 10조원 자사주 매입, 좀 아쉽다 새로운 성장 전략과 투명 경영이 중요하겠지만주주 자본주의 시대에 자사주 매입을아예 외면하기는 ..

경제민주 이슈 2025.03.10

기업 상속세 논란, 영·미처럼 직원들의 기업 승계 지원 필요

기업 상속세 논란, 영·미처럼 직원들의 기업 승계 지원 필요  최근 정치권에서 기업 승계와 관련해상속세 완화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상속세 최고 세율 인하에‘초부자 감세’라며 반대 입장을 보이자국민의힘 측에서는 “과도한 상속세 때문에가업 승계가 어렵다“며 맞불을 놓고 있죠. 사실 기업 상속세의 대폭 완화는‘부의 대물림’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고 합니다.다만 지나친 세율 때문에기업이 사모펀드 등에 팔린다면무차별적인 구조조정 등역효과를 낳을 수도 있죠.더구나 규모가 작은 회사는자식들도 잘 물려받지 않으려 합니다.마침 영국과 미국 정부가 해법을 제시합니다. 자본주의에서 앞서간다는 영국과 미국은종업원들의 기업 승계를 적극 지원합니다덕분에 기업주는알맞은 가격으로 회사를 팔면서후계 계획도 ..

경제민주 이슈 2025.03.03

정치권의 우리사주제 활성화 방안, 환영하나 더 많은 논의 필요

정치권의 우리사주제 활성화 방안, 환영하나 더 많은 논의 필요  최근 더불어민주당이우리사주제도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습니다.민주당 내 비상설 특별위원회인‘월급방위대’(위원장: 한정애 의원)는회사 측과 개인 대주주가우리사주조합에 지분을 넘길 경우각각 법인세와 양도세를면제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아울러 등기임원 등경영진의 우리사주조합 참여도허용할 예정입니다.     몇 년 전부터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종업원 소유권을계속해서 지원하고 있습니다.특히 베이비붐 세대 중소기업주들의대거 은퇴를 맞아서직원들의 기업 인수를 적극 추진 중이죠.그 점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일부 정치권의우리사주제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은환영하고 평가할 만하다고 봅니다. 사실 ‘자본주의 선진국’이라는미국과 영국에서직원들의 기업 승계가 발달한 이유는..

경제민주 이슈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