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든 기업주들의 '은퇴 쓰나미', 종업원 소유권으로 막자”
“국가적으로 경제 활력과 경쟁력은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기업주들의 은퇴 쓰나미(TSUNAMI)가
중소기업의 절반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어요.
은퇴하는 베이비붐 세대 (기업주가)
노동자를 소유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종업원 소유권으로 기업을 지킵시다.”
미국 얘기인데 우리 사정과 비슷합니다.
2024년 12월말 미국과학자연맹(FAS)은
베이비붐 세대 기업주들의 대거 은퇴에 맞서서
종업원들의 기업 승계를 지원하자는
기고문을 소개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수십 명 등이 후원하는 FAS는
과학·생명·군사 방면에서
광범위한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며
사회 문제에도 주목하죠.
기고자는 종업원 소유권 분야의
비영리기구를 만들고 활동한
앨리슨 링게인 공동 설립자입니다.
하버드대를 졸업한 뒤
종업원 소유권 지원단체인
프로젝트 에퀴티(Project Equity)를
공동 설립했으며 수많은 관련 기고와
교육, 지원 활동을 펼쳤어요.
현재는 오너십 캐피털 랩이라는
(Ownership Capital Lab)
비영리 단체를 이끌고 있습니다.
수많은 종업원 소유기업을 지원하고
여러 정책을 제시하며
현장에서 다년 간 활동한 앨리슨 설립자가
미국 중소기업이 처한
심각한 상황을 경고합니다.
글이 길어서 원뜻에 어긋나지 않게
다소 정리해서 소개해드릴게요.
“은퇴 연령에 도달한 기업주가
290만 개의 비즈니스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로 따지만 3210만 개에 해당합니다.
급여로는 1조3000억 달러(한화 1800조 원),
매출로는 6조5000억 달러,
약 8000조 원에 달합니다.”
문제는 중소기업주들이 은퇴할 경우
그들이 소유한 290만 개의 회사 역시
장래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링게인 설립자에 따르면
가족이 인수하는 비율은 그중 30%에 그치며,
매물로 나온 기업 역시
20%만 구매자를 찾습니다.
외국 투자자가 인수하면
요즘 미국 분위기에서
부의 유출 문제가 대두될 수도 있죠.
290만 기업 중에서 절반만이 주인을 찾는다면
나머지 145만 개의 회사는
문을 닫을 수밖에 없겠죠.
자칫하면 기업주들의 대거 은퇴→
중소기업 대량 도산→대량 실업→
지역경제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우려됩니다.
링게인 설립자는
해결 방법이 있다고 역설합니다.
“종업원 소유권의 확대를 위한 조치가
이들 기업에서 10%만 이뤄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직원 10명 이상인 5만7000개의 소규모 회사와
260만 개의 일자리가 보존되어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겁니다.
6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소유 기업이
계속해서 경제 활동을 유지하리라 추정해요.”
미국에는 ESOP이라고 하는
‘종업원 주식 소유제’가 매우 발달했습니다.
ESOP은 노동자 대신
회사가 모든 자금을 부담하며,
세제 혜택이 아주 많죠.
여기에 노동자 협동조합,
EOT라고 하는 ‘종업원 소유권 신탁’
같은 제도도 세를 넓히고 있어요.
최근 미국에서는 지역경제를 지키고
중소기업주들의 은퇴에 대처하기 위해
종업원들의 기업 승계를 지원하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직원들이 상당한 지분을 보유한
노동자 소유기업의 경우
연구와 사례를 통해
여러 강점이 있다고 증명되었어요.
링게인 설립자가 다시 강조합니다.
“광범위한 직원 소유권은
지역 사업체와 공급망를 보호하고,
미국 제조업의 회복력을 보장하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미국 노동자 가정의 가계 수지를 개선하는
강력한 솔루션입니다.
은퇴 쓰나미와 외국 투자자의 위협이
다가오고 있는 지금,
종업원 소유권에 자금 조달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사실 노동자들은 회사를 인수할
자금이 별로 없습니다.
따라서 회사 부담으로
은행 대출 등을 통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금융기관은 담보 여력이 부족한
종업원 소유기업에 대출을 꺼리죠.
심지어 연체율이나 부도율이
다른 대출보다 훨씬 낮은데도 그렇습니다.
링게인 창업자는 제도 개선과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여기서는 너무 전문적이니까
최대한 줄여서 설명하고,
궁금하신 분은
위에 나온 링크로 들어가시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미국 공화당·민주당 의원들이
힘을 합쳐서 발의한
‘종업원 지분 투자법(EEIA)입니다.
또 하나는 연방 중소기업청(SBA)의
대출 보증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이죠.
SBA의 보증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종업원 소유기업은 담보 제공 없이도
저리의 은행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실 관련법이 예전에 통과되었는데
실무적인 예규가 변하지 않아서
대출 장벽이 여전하죠.
최근에 연방 상원의 관련 상임위는
중소기업청에 종업원 소유기업의
대출 보증을 늘리라고
여·야가 만장일치로 촉구했습니다.
EEIA법은 아직 의회에 게류 중이지만
통과될 경우 종업원 소유기업이
획기적으로 늘어나리라 전망됩니다.
미 상무부가
대출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으며,
종업원 소유권에 투자하는 민간 펀드에
세제 혜택을 부여할 수도 있죠.
중요한 것은
우리만큼이나 갈등이 심한
미국 진보와 보수 정치권이
종업원 소유권의 장점을 인정하며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우리 정부와 정치권은
부의 대물림을 키울 수 있는
상속세 완화 정도만 논할 뿐
중소기업 승계에
마땅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죠.
우리나라 역시
중소기업주들의 은퇴가 임박하고 있는 만큼
종업원들의 기업 승계에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습니다.
정부와 정치권이 힘을 모을 수 있다면
직원들이 부담 없이 회사를 사들이고,
지역 경제와 양질의 일자리를
지켜나갈 수 있을 겁니다.
빠른 결단과 대책이 요구됩니다. ∞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s://ecodemo-communicaitor.tistory.com/
문 의: sotong2012@kakao.com
'경제민주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주 양도세 늘린 영국, 종업원 소유는 적극 지원 (0) | 2025.01.20 |
---|---|
미 3대 싱크탱크 “종업원들의 기업 승계, 적극 지원해야” (2) | 2025.01.13 |
한국 투자사, 종업원 소유권으로 중소기업 승계 해결한다 (0) | 2025.01.06 |
미 100대 종업원 소유기업, 65만5000명 재직 중! (6) | 2024.12.23 |
“종업원 소유권, 미국 진보·보수와 대기업까지 공감?” (8)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