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가 경제 살리고 빈부격차도 해소한다?
“사모펀드와 기업은 상위 1%의 이익을 위해
최고의 기업을 사들여서
부의 불평등을 악화시킵니다. ···
하지만 자본 투자자들이
종업원들의 기업 지분 매수를 촉진하면
코로나 경제 위기도 완화시킬 수 있어요.”
코라나 전염병이 세계 경제를 휩쓸면서
미국도 최악의 경제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재정 정책이 증시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지만
실물 경제는 3000만 명의 노동자들이
간신히 연명할 정도로 위기라고 합니다.
해결 방안은 없을까요.
“20‘50’년까지
‘50’만 명의 종업원 소유주를 만들자”는
미국의 시민단체 50by50이
<기회의 문을 두드려라>
(Opportunity Knocking)라는 제목의
정책 보고서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엔 바이든 당선인 측의 요청으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노동자 소유권 확대 등을 제안한
경제민주 이론가
마조리 켈리 씨 등이 참여했죠.
관련 글: 바이든 인수위, 노동자 소유 지원방안 검토 중
정책보고서 바로가기:
https://www.fiftybyfifty.org/wp-content/uploads/2020/12/FiftybyFifty_OpportunityKnocking_WEB.pdf
보고서에 나온
선진국 미국의 실상은 참혹할 정도입니다.
“지역 푸드뱅크에서 사람들이
몇 시간씩 줄을 서서 기다린다.
수백만 명이 집세를 연체하고 있어서
퇴거 위기에 놓여 있다”고 합니다.
한 마디로 미국은
지속적인 하향곡선에 놓여 있다는 것인데,
설상가상 위험이 하나 더 따라붙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는
베이비붐 세대 회사 창업주들의 은퇴에 따른
‘실버 쓰나미’를 가속화합니다.
향후 10년 내에
10인 이상의 종업원이 일하는
중소기업 120만 개가
매물로 나오거나 폐쇄될 전망입니다.
이런 회사는 대부분
베이비붐 창업주들이 만들었죠..”
사모펀드 같은 경우는 빈부격차 해소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합니다.
반대로 실물경제의 회복과
지역경제의 선순환, 양극화 완화,
기후위기 해결 등
지속가능한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임팩트 자본’(Impact Capital)도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합니다.
“미래 충격에 더 잘 대비할 수 있는
임팩트 자본은
정의롭고 공정한 경제를 만들면서
일하는 국민의 손에
부를 넘겨주는 지렛대가 됩니다.
임팩트 자본은 종업원 소유에 투자해도
매력적인 시장 평균 수익률을 올립니다.
노동자 소유주 역시 장기적으로
재무적인 안정을 누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몇몇 사모펀드와 거물급 투자자들이
종업원 소유제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모자이크라는 사모펀드는 이 분야에
(Mosaic Capital Partners)
1억6500만 달러(약 1800억 원)를 조달했고,
세계적인 투자가 조지 소로스 회장 역시
자기 펀드 회사를 통해
종업원 소유 관련 기관과 연계하고 있죠.
관련 글: 노동자들의 기업 인수를 지원하는 사모펀드
50by50 보고서는
더 강력한 종업원 소유 투자 시스템
구축을 위해 몇 가지 사항을 권장합니다.
첫째, 종업원 소유를 위한 새 투자 펀드 개발
둘째, 투자 지침을 통해 노동자들의 이익 보장
셋째, 노동자 친화적인 접근 방식
넷째, 관련 시장 성장과 정부 지원 등입니다.
켈로그 재단 같은 재단이나 여러 시민단체도
노동자 소유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미국에는 약 6700개의 기업에서
1000만명 이상의 노동자가
회사의 지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소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노동자 소유제도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보고서의 다음 말을 덧붙입니다.
“혁신 자본 투자가들은
이미 이 분야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노동자 소유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12개의 신규 및
신흥 투자 펀드를 확인했습니다.”
시작은 미미하지만
그 끝은 창대하기를 바랍니다. ∞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blog.daum.net/ecodemo-sotong
문 의: sotong2012@hanmail.net
'경제민주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든 경제 참모의 최신 주장 “노동자 소유 확산시켜야” (0) | 2021.01.25 |
---|---|
바이든의 장관들도 노동자 소유 지지! (0) | 2021.01.18 |
바이든 인수위, 노동자 소유권 지원방안 검토 중 (0) | 2021.01.04 |
뉴욕시, 대대적인 노동자 소유 프로젝트 왜 할까 (0) | 2020.12.28 |
뉴욕시, 미국 최대의 ‘노동자 소유’ 프로젝트 시작!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