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쓰나미 6

미 유력지 “기업주 대거 은퇴, 노동자 소유권으로 해결?”

미 유력지 “기업주 대거 은퇴, 노동자 소유권으로 해결?” “현재 '실버(Silver) 쓰나미'가 중소기업을 강타하고 있는 상황에서, 노동자 협동조합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은퇴할 기업주들의 파도가 곧 닥쳐옴에 따라 지역 정책 담당자들은 종업원 소유권 모델을 알리려 노력하고 있다.” - 2023년 6월16일자 2015년 아카데미 작품상에 빛나는 영화 ‘스포트라이트’는 라는 언론의 탐사 기획팀 이야기를 다룹니다. 미국 3대 일간지로도 꼽히는 가 노동자 소유권에 주목했네요. 베이비붐 세대 중소기업주들의 은퇴가 임박했는데 마땅한 승계 방안이 없는 상황에서 종업원 소유권이 대안으로 꼽힌다는 것이죠. 한 예부터 정리해 소개드릴까요. 의 노동자 소유권 관련기사 바로가기 30년 전에 딘 사이콘 창업자는 딘스 빈스..

경제민주 이슈 2023.07.03

와튼스쿨 대담 “노동자 소유권은 진보·보수가 모두 지지”

와튼스쿨 대담 “노동자 소유권은 진보·보수가 모두 지지” 펜실베이니아대 와튼(Wharton)스쿨은 지난 11월 자체 온라인 비즈니스 저널에서 노동자 소유권에 관한 대담을 소개했습니다. ‘협동조합 경제민주를 향한 소통’은 캐서린 클라인 와튼스쿨 경영대 교수와 전미종업원소유권센터(NCEO)의 코리 로젠 공동설립자가 진행한 토론을 지난 회에 이어 계속 전해드립니다. 클라인 교수의 질문부터 볼까요. (협)소통 관련 글: 와튼스쿨의 질문, “왜 노동자 소유주들이 더 잘 살까” Knowledge at Wharton’의 종업원 소유권 대담 바로가기 “여러 설득력 있는 사례를 보면 우리가 종업원 소유권을 더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겠네요. 사실 종업원 소유기업에 대한 생각은 일반적으로 ‘이상한 회사’라는 점입니다...

경제민주 이슈 2022.12.12

록펠러재단, 종업원 소유권에 진심이었어?

록펠러재단, 종업원 소유권에 진심이었어? 록펠러 재단은 인류복지 증진을 위해 그동안 20억 달러를 전 세계의 수혜자들에게 제공했다고 합니다. 1913년, 바로 그 유명한 석유왕 록펠러가 재단을 만들었죠. 글로벌 대재벌이 만든 록펠러 재단인데, 노동자 소유권도 아낌없이 성원하고 있네요. 지난 9월 록펠러 재단은 누리집에 ‘포용적이고 번영하는 경제를 향한 대담한 길: 종업원 소유권’(A Bold Path to an Inclusive, Thriving Economy: Employee Ownership) 이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재단의 글은 액센트 조경이라는 (Accent Landscape Contractors, Inc) 중소기업을 소개하는 것부터 시작하죠. 록펠러 재단의 노동자 소유권 관련 글 바로가기 록펠러..

미 싱크탱크 “기업주 은퇴, 종업원 인수 활용해야”

미 싱크탱크 “기업주 은퇴, 종업원 인수 활용해야” 최근 우리 정부는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기업주 가족의 상속세 부담을 대폭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자칫 ‘부의 대물림’이 대대로 이어질 우려도 없지 않죠. 반면에 자본주의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는 일찌감치 발달한 ‘종업원 소유권’을 바탕으로 심각한 기업 승계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지난 8월 미국 싱크탱크 센추리 재단(Century Foundation)은 “기업 상속에서 종업원 인수 등 소유권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정책 보고서를 냈습니다. 1919년 설립해 역사가 100년(Century)을 넘은 이 재단은 뉴욕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대공황기 등에 굵직한 정책을 많이 발표했죠. 센추리 재단의 보고서 바로가기 보고서 제목은 ‘제조업 승계의 과..

경제민주 이슈 2022.09.19

“프루덴셜과 함께, 노동자 소유주 200만 명 만듭니다”

“프루덴셜과 함께, 노동자 소유주 200만 명 만듭니다” “2026년까지 200만 명의 새로운 종업원 소유주를 창출하기 위해 전국적인 실천 계획을 발표합니다. 현재 미국에선 300만 명의 기업 소유주가 은퇴를 앞두고 있어요. ‘실버 쓰나미’가 오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기업은 승계 계획이 없습니다.” 최근 미국의 비영리 단체인 프로젝트 에퀴티(Project Equity)가 ‘종업원 소유권 가속화 캠페인’을 시작했네요. 세계적인 금융기업인 프루덴셜 파이낸셜도 산하 재단을 통해 함께 하기로 했습니다. 대체 무슨 일일까요. 프로젝트 에퀴티 보도자료 바로가기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미국 역시 중소기업 상속이나 승계 문제가 심각합니다. 우리는 상속세를 완화하자고 하지만 미국은 종업원 지주제를 통해 기업 상속 문제를 해결..

카테고리 없음 2022.08.08

‘4경 자산’ 미국 베이비부머 은퇴, 수백만 일자리 사라지나

‘4경 자산’ 미국 베이비부머 은퇴, 수백만 일자리 사라지나 “미국에서 베이비부머와 고령층이 (은퇴를 앞두고) 축적한 부를 자녀 등에게 상속 및 증여하는 사상 최대 ‘부의 이전’이 시작됐다”고 합니다. 총 자산 규모가 무려 35조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경 원이라고 최근 우리 언론이 월스트리트저널을 인용해 보도했죠(연합뉴스, 2021년 7월3일). 고령층의 대규모 은퇴는 여러 가지로 문제이지만 경제에도 영향이 큽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 기업주들이 은퇴하는 이른바 ‘실버 쓰나미(Silver Tsunami)’로 미국 경제가 큰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옵니다. 미국의 종업원 소유권 지원단체인 프로젝트 에퀴티(Project Equity)에 따르면 베이비부머 기업주는 230만 개 사업체에서 약 2500..

경제민주 이슈 2021.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