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사모펀드 대표 “종업원 소유권, 자본주의 바꿀 것”
초대형 글로벌 사모펀드의 최고 간부가
이런 연설을 했다면 믿어지십니까?
“저는 궁금했습니다.
만약 회사의 모든 직원이,
공장 현장이나 물류 센터 노동자들까지
자사주를 가진다면 어떨까요?
직원들의 삶은 어떻게 달라지며,
회사, 나아가 지역사회 전체는
어떤 영향을 받을까요?”
내용만 보면 우리나라의 재벌이나
보수, 심지어 진보 정치인도
까무러칠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정말 글로벌 자본주의의
상징적 인물이 진행한 연설입니다.
초대형 사모펀드로 잘 알려진
KKR의 대표가 하는 강연을 더 들어볼까요.
“오늘 저는 여러분을 설득하고자 합니다.
종업원 주식 소유권의 확대는
노동자의 사기를 높이고
기업을 더 강하기 만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자본주의는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저는 (종업원 소유권이) 말 그대로
경제를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KKR의 피트 스타브로스
글로벌 사모펀드 공동대표는
2010년부터 투자대상 회사의 직원들에게
‘의미 있는 가치 ’ 의 지분과
현장 권한, 경영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죠.
투자자, 경영진, 노동자가
소유권을 공유한 결과
투자 수익률도
KKR의 다른 투자보다 높다고 합니다.
2024년 4월 스타브로스 대표는
TED 강연에서
종업원 소유권에 기반을 둔
자신의 ‘공유 소유권(Shared Ownership)’
모델에 관해 발표했습니다.
TED는 미국의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세계적인 강연회로 유명합니다.
스타브로스 대표는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을 송금하던
20대 시절을 떠올립니다
(강연 분량이 길어서
조금 정리해서 소개합니다).
스타브로스 KKR 글로벌 사모펀드 공동대표의 TED 강연 바로가기
“한 회사는 CEO부터 중간 관리자까지
자사 지분을 가지고 있었어요.
CEO는 송금 확인을 하면서
‘돈 잘 받았고 고맙다’고 할 뿐이었습니다.
CEO보다 훨씬 적은 액수를 받은
재무 담당자는 감격에 겨운 나머지
아무 말도 못했습니다.
나중에 제게 음성 메일을 보냈는데
‘이 배당금은 아이들의
대학 교육을 의미한다’고 울먹이더군요.”
스타브로스 대표와 마찬가지로
그의 아버지도
모든 직원이 자사주를 가진다면 어떨지
수십 년이나 생각했답니다.
“시카고의 건설회사에서 일한 아버지는
45년이나 도로 연마기를 다뤘습니다.
세 가지 문제 때문에
노동자 소유권을 꿈꿨어요.
첫째, 시간당 임금 20달러로는
부를 쌓을 수 없었습니다.
둘째, 생산성 향상 등에
신경 쓸 인센티브가 없고
회사와 일체감을 느끼지 못했어요.
셋째, 작업장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습니다.
이 같은 아버지의 경험은
결코 특별한 것이 아니잖습니까.”
블루칼라 아버지가
우리나라의 진보·보수 정치인보다
더 뛰어나다는 생각이 드네요^^;
마침 미국에는 ESOP(이솝)이라고 하는
종업원 주식 소유제가 발달했습니다.
ESOP은 우리의 우리사주제와 달리
직원 대신 회사가 모든 자금을 부담하고
세제 혜택도 훨씬 크죠.
하버드 경영대 대학원생 시절,
스타브로스 대표는 ESOP에 매료되었습니다.
“25년 전 대학원생 시절
저는 종업원 소유권의 역사를 연구했고
2002년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몇 년 뒤에 저는
현재 일하고 있는 KKR에서
처음으로 리더십 책임을 맡게 되었어요.”
당시 스타브로스 대표는
KKR 아메리카 본부의
산업 부문 팀장을 맡았습니다.
“저는 주로 제조업체에
투자하는 일을 담당했습니다.
덕분에 모든 직원들과 지분을 공유하는
다양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었어요.
지난 15년 동안 44개 기업과
이런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성공도 실수도 많이 했어요.”
분량이 엄청 기네요^^;
스타브로스 대표의 종업원 소유권 투자에 관한
생생하고 흥미진진한 경험담과
향후의 활동 및 전망이 다음번에 나옵니다.
아, 답답하신 분은 위에 링크한
‘TED 강연 바로가기’로 가시면
원문을 보실 수 있어요.
(협)소통 담당자처럼 영어를 잘 몰라도^^;;
번역기로 보시면
대충의 의미를 알 수 있답니다^^ ∞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s://ecodemo-communicaitor.tistory.com/
문 의: sotong2012@kakao.com
'경제민주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대형 사모펀드 대표 “수천만 명의 종업원 소유주 만들 것” (46) | 2024.06.03 |
---|---|
기업 상속세 완화? 캐나다는 영·미처럼 종업원 승계 지원 (22) | 2024.05.30 |
미 싱크탱크 “종업원 소유권, 자본주의를 나아지게 할까?” (2) | 2024.05.20 |
남아공 대통령이 왜? “종업원 소유권 적극 지원!” (2) | 2024.05.13 |
중기부의 기업승계 전략, 영·미처럼 종업원 승계 지원하길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