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이야기

“챗GPT, 종업원 소유권을 어떻게 생각해?”

(협)소통^^ 2023. 2. 20. 12:37

“챗GPT, 종업원 소유권을 어떻게 생각해?”

 

 

“AI 언어 모델로서

개인적인 신념이나 의견은 없습니다.

종업원 소유권은 직원이

직접 소유 또는 이익 공유를 통해

회사 지분을 갖는 비즈니스 모델이죠.

잠재적 이점으로는 동기 부여 및 만족도 증가,

기업 성과 개선 및

소득 불평등 감소 등입니다.

다만 성공 여부는 회사의 문화, 구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챗GPT에게 물어봤습니다. "종업원 소유권을 어떻게 생각해?" 이미지: https://openai.com/blog/chatgpt/

 

챗GPT가 연일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협동조합 경제민주를 향한 소통도

‘챗GPT 코인’에 살짝 올라타봤습니다^^;

챗GPT가 종업원 소유권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어봤더니,

“개인적인 신념이나 의견은 없다”면서도

나름대로 성의 있는 답변을 하는군요.

또 물어봤습니다.

 

=직원들이 소유한 회사는 몇 개나 돼?

 

챗GPT: “종업원 소유 모델의 유형이 다양하고

데이터가 불완전해서

정확한 수는 산정하기 어렵죠.

(관련 단체에 따르면) 미국에는

약 6600개의 종업원 소유기업에서

1400만 명이 일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종업원 소유권은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를 비롯해

여러 국가에서 다양하게 실현되고 있어요.”

 

미국에는 ESOP(이솝)이라고 하는

종업원 주식 소유제가 운영 중입니다.

영국에는 EOT로 불리는

종업원 소유권 신탁이 있죠.

우리의 우리사주제와 비슷하지만

ESOP과 EOT는 노동자 대신

회사가 자금을 부담하고

세제 혜택이 아주 풍부합니다.

노동자 협동조합도 있지만,

일단 ESOP의 효과가

얼마나 입증되었는지 질문했습니다.

 

챗GPT: “ESOP의 효과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

종업원 동기 부여, 직무 만족도,

종업원과 회사의 장기적인 재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해요.

전반적인 증거는 긍정적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산업 및 규모,

참여 수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노동자 소유권에 대한 챗GPT의 답변은 나름대로 성실하고 무난했습니다. 이미지: 챗GPT

 

좀 더 구체적인 결과가 있는지 물었고

챗GPT는 주로 미국의 대학 연구소,

저널, 관련단체가 진행한

몇 가지 연구 조사를 근거로 답했습니다.

ESOP의 긍정적 효과에 “상당한 연구 및

문헌이 있다”고도 따로 밝혔어요.

 

챗GPT: “연구에 따르면 ESOP 참여 직원은

높은 수준의 직업 만족도와 헌신을 보입니다.

ESOP 기업은 수익성과 생산성이 높으며,

참여 직원들은 장기적으로

재정적 성과를 거둡니다.

이직률이 낮아 직원 유지에 효과적이죠.

또 ESOP은 직원이 회사에

더 큰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느끼는

소유권 문화를 만듭니다.”

 

사람들이 노동자 소유기업에서

일하고 싶어 할지 묻는 질문에는

역시 여러 연구 성과를 근거로

이렇게 답합니다.

 

챗GPT: “많은 이가 종업원 소유기업에서

일한다는 생각에 매력을 느낍니다.

조사 결과 이들 직원의 대다수는

자기 업무에 매우 만족하고 있어요···.

이들은 자신의 업무가 의미 있고

회사 결정에 자신의 목소리를 낼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번에는 조금 짓궂은 질문을 던져봤습니다.

트럼프 지지자와 바이든 지지자 중에

누가 더 직원 소유권을 좋아할까요?^^;

 

챗GPT: “일반적으로 종업원 소유권은

당파적인 문제가 아니며,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여도 증가, 업무 만족 향상,

회사 실적 개성 같은 이점은

정치적 견해와 관계없이

광범위한 사람에게 매력적이죠.

다양한 산업에서

종업원 소유기업의 성공 사례가 많으므로,

종업원 소유권은 정치 소속에 관계없이

유익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

 

 

'우문현답+심쿵 답변'이었습니다^^ 이미지: 챗GPT

 

우문현답이었습니다^^;

실제로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은

노동자 소유권 관련 입법에

초당적으로 협력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진보와 보수,

여당과 야당 어느 쪽도

종업원 소유권을 중요하게 바라보지 않죠.

그 점에서 챗GPT의 성실한 답변에

고마움을 표시했더니

또 심쿵한 답변을 주는군요.

 

챗GPT: “천만에요!

직원 소유권에 대한 귀하의 질문에

답변할 수 있어서 기쁩니다.

앞으로도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새로운 호기심으로 다시 찾아가려 합니다.

여러분도 알고 싶은 점이 있다면

언제든 저희 (협)소통을 찾아주세요^^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s://ecodemo-communicaitor.tistory.com/

문 의: sotong201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