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경제 살리기, 미국은 돈 뿌리기에 더해···
코로나 위기의 여파로
우리나라 골목경제의 상황은 심각합니다.
많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대출과 지원금으로 연명하고 있죠.
임대료 감액 청구도
확실한 법적 뒷받침을 받지 못합니다.
미국 자영업자 역시 사정이 좋지 않습니다.
연방정부 차원에서
막대한 돈을 뿌리고 있지만 충분하진 않죠.
그런데 일부에서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볼티모어의 작은 피자가게에서
그런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가 막 퍼지던 2020년 3월,
조 스퀘어(Joe Squared)라는 피자가게는
영업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지역에서 인기 있는 식당이자
여러 예술가가 수시로 공연하는 명소였지만
확장 공사로 빚까지 진 탓에 더 힘들었죠.
소유주 조 에드워슨 씨는
식당 총지배인과 수지를 맞추려고
‘미친 듯이’ 노력했지만 불가능했습니다.
비용 절감으로 피자의 질이나
그동안 직원들에게 지급한
생활임금의 수준을 희생할 수는 없었죠.
지배인이 “이쯤에서 끝내자”고 권했습니다.
조 스퀘어는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
에드워슨 씨와 총지배인은
앞으로 어떻게 할지 상의했습니다.
마침 식당 맞은편에 노동자 소유의
서점이자 카페가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구상이 떠올랐습니다.
에드워든 씨가 불쑥 물었죠.
“우리 직원들에게
조 스퀘어를 물려주면 어떨까요?”
원 소유주 입장에서는 부담이 줄고
새로 소유자가 된 노동자들은
더 많은 복지를 누릴 것 같았습니다.
수많은 연구도 종업원 소유권이
생산성 향상, 조직의 안정성,
기업 생존성을 향상시킨다고 말했죠.
위기 상황에서 협동조합은 일반 기업보다
노동자들을 해고하지 않는다고도 했습니다.
폐업 후 9개월이 흐른 2020년 11월,
조 스퀘어는 노동자 협동조합이 되었습니다.
에드워슨 씨는 14명의 직원들과
동등한 소유권을 가졌습니다.
노동자들은 이사회에서 한 표를 행사하며
수익의 3분의 2를 고루 분배받습니다.
주방이나 홀에서 일하며 경영을 배우고
행정의 의무를 짊어지게 되었죠.
지난 10여 년 동안 미국에는
노동자 협동조합이
350개에서 465개로 늘어났답니다.
식당, 카페, 빵집도 일부 포함되어 있죠.
노동자 소유로 전환을 지원하는
단체도 존재합니다.
한 지원 단체는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사업주들로부터 종업원 소유권 모델을
문의하는 전화가 많이 온다고 밝힙니다.
종업원 소유기업으로 바꾸거나
새로 출발하는 데는 자금도 필요하죠.
미국 전역엔 비영리재단과 사모펀드 등
관련 투자기관 10여 개가 존재하는데
몇 억 달러를 투자하는 곳도 있습니다.
물론 연방정부나
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도
활발하진 않으나 꾸준히 이뤄지고 있죠
(적어도 우리나라보단^^;).
종업원 소유를 위한 지원단체,
투자기관, 정책 등의 덕분에
조 스퀘어는 영업 중단 9개월만에
노동자 협동조합으로 새 출발했습니다.
(물론 소유주와 직원들의 열정이 으뜸^^)
“수많은 전국·지역의 상을 받은 인기 음식을
지역 커뮤니티에
다시 선보일 수 있게 됐다”는 거죠.
사실 볼티모어 시가
지역업체들에 일부 영업을 허용하자,
조 스퀘어의 노동자 소유주들은 투표를 통해
백신 접종이 끝날 때까지 테이크아웃과
배달 영업만을 하기로 결정했죠.
기업과 지역 공동체가
함께 살아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에드워슨 씨의 말.
“코로나 대유행으로
자영업자들은 큰 타격을 입었지만
노동자 소유기업은 위기 극복에 필요한
복원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는 미래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고 있어요.
난 오늘의 조 스퀘어를 만든
직원들에게 감사합니다.”
코로나 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의 지역경제도
참고할 만한 사례가 아닌가 합니다.
아, 임대료 감액 청구권이나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보호 제도,
종업원 지원제도도
더욱 늘어나고 강화되었으면 하고요. ∞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blog.daum.net/ecodemo-sotong
문 의: sotong2012@hanmail.net
'종업원 소유 참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버드대 경영지, “회사 지분의 30%가 노동자 소유라면?” (0) | 2021.05.31 |
---|---|
보수 성향의 텍사스, ‘종업원 소유법 만들자’는 기업인 (0) | 2021.05.27 |
노동자들이 소유한 지주회사, 재벌과 뭐가 달라? (0) | 2021.05.06 |
비트코인 말고, 일하며 잘 살 순 없나요? (0) | 2021.04.29 |
“진화한 자본주의? 직원들과 부를 나누는 것”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