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회사 3

미 유력 싱크탱크, ‘혁신적인’ 종업원 소유기업 만나다

미 유력 싱크탱크, ‘혁신적인’ 종업원 소유기업 만나다 “13년 동안 종업원 소유권을 시행하며 우리는 직원들의 삶과 비즈니스를 진정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처음부터 함께한 직원은 현재 자사주 가치가 연간 보수의 5~6배에 달해요. 근속 기간이 짧은 직원들의 계좌도 지분을 축적하면서 매우 긍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워싱턴DC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적 싱크탱크 아스펜 연구소(Aspen Institute)가 노동자 소유회사의 CEO를 만났습니다. 미국 기업 임파워드 벤처스(Empowered Ventures)는 ESOP(이솝)으로 불리는 종업원 주식 소유제를 통해 여러 제조업체를 거느린 노동자 소유 지주회사죠. 임파워드 벤처스는 합성수지, 열성형 플라스틱 등을 만드는 세 회사를 종업원 소유로 바꿨습..

경제민주 이슈 2023.07.17

노동자들이 소유한 지주회사, 재벌과 뭐가 달라?

노동자들이 소유한 지주회사, 재벌과 뭐가 달라? 지주회사란 지배하는 회사를 모회사로 두고 지배 받는 회사를 자회사로 둔 기업 시스템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재벌이 지주회사 체제를 택하고 있는데 총수 일가는 전환 과정에서 거의 재산 한 푼 들이지 않았죠. 그럼에도 거수기 이사회 논란이 이는 등 총수의 지배력은 여전히 막강한 듯합니다. 그런데 외국에는 노동자들이 소유한 ‘지주회사’도 존재합니다. 우리나라 재벌과 비교하면 물론 규모가 다르죠^^; 아, 노동자들이 100% 소유한 ‘기업’이라면 종업원 소유주가 20만 명에 달하는 미국의 슈퍼 체인점 퍼블릭스(Publix) 슈퍼마켓도 있습니다. 그러나 퍼블릭스가 노동자 소유 지주회사는 아니니까요. 미국의 폴리언스(Folience)는 2012년부터 100% ..

건설 일용직 노동자 협동조합, 성공할까?

건설 일용직 노동자 협동조합, 성공할까? “프로젝트 매니저로 출근한 첫날이었어요. 나는 약간 회의적인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우리 회사의 일원이 되었다는 사실을 좋아할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었어요.” 2016년 미국 볼티모어에서 건설 일용직 노동자들의 협동조합이 만들어졌습니다. 실업자와 전과자까지, 노동자 조합원들은 일당에서 몇 달러씩을 공제했고 지원단체에서 대출과 컨설팅을 받았죠. 전망은 어땠을까요? 위에 프로젝트 매니저의 증언을 보면 짐작이 갑니다. 참, 이 매니저의 뒷말을 들어보지요. “절대적으로 좋죠. 조합원들은 갈수록 서로 도움을 주려고 합니다. 우리 협동조합의 일원으로서 나는 가능성이란 무엇인지 폭넓게 바라보게 되었어요.” 조합 간부들은 유색인 위주로 구성된 프리랜서 기술자들의 협동조합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