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 연방정부에 노동자 소유권 지원을 촉구
지난 8월 초
미국 연방 상원은 세출위원회를 열고
2025년에 연방정부의
종업원 소유권 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규정을 통과시켰습니다.
세출위에 참여한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 상원의원
27명 전원이 만장일치로 찬성했네요.
해당 내용은 ‘2025년 회계연도
금융서비스 및 일반 정부 자금지원
패키지 법안‘에 포함되었습니다.
미국에는 ESOP(이솝)이라고 하는
종업원 주식 소유제 등
여러 노동자 소유권이 발달했습니다.
우리의 우리사주제와 달리 ESOP은
노동자가 아니라 회사가
관련 자금을 전액 부담하고
세제 혜택도 훨씬 풍부합니다.
현재 6500개 기업에서 ESOP을 통해
1400만 명의 노동자가 2조1000억 달러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어요.
연구에 따르면 종업원 소유기업은
일반 회사보다 생산성이 높고
해고가 적으며 위기에 강합니다.
노동자 소유주들 역시 일반 노동자보다
자산과 소득이 많다고 합니다.
많은 종업원 소유주들은
100만 달러(13억 원) 이상을 받고
은퇴하기도 할 정도입니다.
특히 혜택이 풍부한 ESOP은
중소기업 승계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기도 하죠.
우리만큼이나 갈등이 심한 미국 정치권도
노동자 소유권에는 호의적입니다.
2018년 미국 연방 상·하원은
연방 중소기업청(SBA)이
노동자들의 기업 승계를 지원하는
‘메인스트리트 종업원 소유권법’을
(the Main Street Employee Ownership Act)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
이후로 여러 관련 법안이
통과되거나 계류 중에 있습니다.
연방 상원 세출위는
SBA, 즉 중소기업청이 노동자 소유권에
예산과 정책 지원을 하도록
세 가지 규정을 만들었습니다.
첫째, SBA는 종업원 소유권
전문 담당자(Coordinator)를 두고
금융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해야 합니다.
둘째, SBA는 중소기업주들이
ESOP 등 종업원 소유권으로
기업을 승계하도록 지원하는
안내자료(Toolkit)를 만들어야 합니다.
셋째, SBA는
메인스트리트 종업원 소유권법에
규정된 대로
노동자 소유권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완전히 이행해야 합니다.
우선 첫 번째 규정과 관련된
연방 상원 세출위의 문구부터 볼까요.
“위원회는 종업원 소유기업이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과 노동자와 지역사회에
광범위한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을 인식한다.
위원회는 SBA에···
노동자 소유제 및 협동조합 등
종업원 소유 구조에 대한
전문성을 개발하도록
종업원 소유 코디네이터를
지정하라고 권고한다.”
말씀드렸듯이 미국 의회도
노동자 소유권에 호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계속 보죠.
“코디네이터는
종업원 소유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SBA의 금융 프로그램 활용을 장려하고, ···
중소기업투자회사나 대출 기관의 수를 늘려
종업원 소유 전환을 위한 자금을 제공하고,
종업원 소유 이해관계자와
협력하도록 지원한다.”
중소기업청의 전문 코디네이터가
노동자 소유권 활성화를 위해
관계자들과 협력하고
SBA 금융 프로그램도 활용하라고 합니다.
특히 금융과 융자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네요.
ESOP 전환에는
대출이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미국 상원 세출위의 지적은
매우 시의적절한 것 같습니다.
이제 두 번째 규정을 보죠.
“위원회는 SBA가 ···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온라인 툴킷을 개발하여
중소기업주에게··· 기업 승계 전략으로서
종업원 소유 계획 및 협동조합을 포함한
직원 소유 옵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권장한다.”
기업 승계에
종업원 소유권을 활용하도록
안내 자료를 개발하라는 얘기입니다.
미국 연방 상원 세출위의
세 번째 관련 규정도 볼까요.
“메인스트리트 종업원 소유권법은
SBA가 직원 소유권 전환에 대한
기술 지원 및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 프로그램을 설립할 것을 요구한다.
위원회는 SBA가 이 조항을 완전히 이행하고
이 법(2025년 세출법) 제정 후 90일 이내에
이행 현황을 위원회에 보고할 것을 촉구한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 역시
중소기업주들이 대거 은퇴하면서
수많은 회사들이 마땅한 주인을 찾지 못하고
도산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죠.
우리 정부는 기업 상속세 완화나
M&A 활성화가 답이라고 하지만
미국 연방의회는 보수·진보가 합쳐서
종업원 소유권을 대안으로 제시합니다.
미국 정부 역시
노동부와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관련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있죠.
모두에게 이익인 제도가 있는데
우리 정부와 정치권은
언제까지 외면할지 답답합니다. ∞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s://ecodemo-communicaitor.tistory.com/
문 의: sotong2012@kakao.com
'경제민주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판 <그알> “초대형 사모펀드는 왜 노동자 소유권에 꽂혔나” (0) | 2024.08.22 |
---|---|
미국판 <그알> “초거대 사모펀드는 왜 종업원 소유권을 외칠까?” (0) | 2024.08.19 |
미 백악관, 노동자 소유권 지원을 위한 대대적 회의 개최 (2) | 2024.08.05 |
<포브스> 기업인 기고 “직원 소유권, 가장 아름다운 자본주의” (2) | 2024.07.29 |
영국 50대 종업원 소유기업, 12만 직원이 28조 매출 (0)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