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 이슈

런던시, 대대적인 노동자 소유권 프로젝트 시작!

(협)소통^^ 2023. 1. 16. 12:26

런던시, 대대적인 노동자 소유권 프로젝트 시작!

 

 

오늘 런던시장은 종업원 소유기업과

노동자 협동조합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소유권 허브(Ownership Hub)

계획을 발표합니다.

사디크 칸 시장은 런던에 있는 더 많은 기업이

노동자 소유가 되도록 지원하기 위해

여러 단체와 함께 파트너십을 펼칠 예정입니다.”

 

 

최근 영국의 수도 런던은 시 차원에서 ‘소유권 허브’를 만들고 종업원 소유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런던시청 누리집  https://www.london.gov.uk/

 

지난해 12월 영국의 수도인 런던은

종업원 소유권 활성화 정책을 공개했습니다.

시 정부는 런던시 소유권 허브를 만들고

지역에서 창출된 부가 지역에서 순환하도록

보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칸 런던시장은 사회적 기업, 지자체 소유,

노동자 협동조합, 종업원 소유기업 같은

민주적 기업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는데

특히 노동자 소유권에 큰 방점을 찍었습니다.

런던시의 종업원 소유권 프로젝트 보도자료 바로가기

 

2023년 초에 출발하는 런던시의

소유권 허브 계획에는 영국협동조합 협회,

영국 종업원 소유권 협회(EOA)가 함께합니다.

런던시는 관련 단체들과 더불어

지역에서 종업원 소유기업과

노동자 협동조합이 발전하도록

네트워크를 만들고

자원 및 여건 조건을 뒷받침하기로 했어요.

 

2004년 영국 정부는 종업원 소유권 신탁,

 EOT를 법제화했습니다.

EOT는 우리사주제와 비슷하지만

세제 혜택이 훨씬 풍부하고

노동자들이 자기 돈을 들일 필요가 없어요.

현재 영국에는 EOT 기업을 포함해

1600개 이상의 노동자 소유기업이 존재하며

그중 30%가 런던에 있다고 합니다.

런던시의 말을 들어봅니다.

 

종업원 소유기업은

지역에 지속가능하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며,

노동자에게 참여와 권한을 보장해

성과를 증진합니다.

지금처럼 인플레이션과 소비 감소로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특히 중요하죠.

직장에서 이해관계와 발언권을 주는 것은

런던시장의 기본 방침이기도 합니다.”

 

 

영국 노동자 소유기업의 30%가 몰려 있다는 런던시 전경. 현재 영국에서 종업원 소유기업은 1600개에 달하며, EOT 기업만 제도화 8년만에 1000개를 넘겼습니다. 이미지: 런던시 누리집

 

영국의 수도인 런던시가 직접 지원에 나설 만큼

종업원 소유권은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노동자 소유권은

경제 위기 때 기업의 힘을 강화합니다.

코로나 위기 때 종업원 소유기업은

고용을 지켰으며

절반 이상이 매출을 유지·신장시켰어요

(일반 기업의 80%는 매출 감소).

2021년에 거래 중단률은

일반 기업이 7.5%인 반면에

종업원 소유기업은 1.7%에 그쳤습니다.”

 

사디크 칸 런던시장의 입장은 어떨까요.

 

런던 기업들은 코로나 위기와

브렉시트라는 혼란을 겪었고

인플레이션과 소비 감소도 맞닥뜨렸습니다.

불확실한 시기에 우리는 안주하지 말고,

지역사회에 이익이 되며 회복력이 강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야 해요.”

 

 

사디크 칸 런던시장(흰머리 남성). 여러 발언으로 미뤄보면 종업원 소유권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듯합니다. 영국 정부 역시 EOT 제도화에 힘썼고, EOT 기업만 1000개를 넘겼다는 사실을 볼 때 어떤 면에선 부럽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미지: 런던시 누리집

 

경제 침체기에 노동자 소유권의 강점을

런던시장은 어떻게 바라볼까요.

 

종업원 소유권은 자신이 일하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과 깊은 유대감을 느끼고

목표를 공유하며

역동적으로 참여하는 인력을 만듭니다.

직원 소유기업을 늘리는 건

제 임무의 핵심적인 부분이에요.

모두를 위해 더 나은 런던,

더 안전하고 공정하며 친환경적이고

번영하는 도시를 건설하라는 임무 말입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영국의 노동자 소유기업,

종업원 소유주들이 증명하는 수많은 결과가

런던시장의 마음까지 움직이고 있는 듯합니다.

무엇보다 영국 정부 차원의

제도 개선 노력도 빠뜨릴 수 없겠죠.

우리나라 정부와 정치권, 지방자치단체도

곱씹어볼 정책이 아닐 수 없습니다.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s://ecodemo-communicaitor.tistory.com/

문 의: sotong201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