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공유 19

<포춘>지, 93세의 종업원 소유기업 CEO를 만나다

지, 93세의 종업원 소유기업 CEO를 만나다 미국의 유명한 경제지 이 최근 한 기업인을 만났습니다. 연세가 무려 93세나 된다고 합니다. 더 놀라운 사실도 있습니다. 이 만난 93세의 할아버지 CEO는 노동자들이 100% 지분을 보유한 회사의 창업자입니다. 무슨 일일까요? 기사 바로가기 1978년 밥 무어 씨는 미국 오리건 주에서 통곡물 식품 제조업체인 밥의 레드밀(Bob's Red Mill)을 만듭니다. 20명으로 출발한 노동자의 수는 40명으로, 그 뒤에도 계속해서 늘어났죠. 1983년경 밥 무어 창업자 겸 CEO는 이른바 ‘이윤 공유제’를 실시합니다. “모든 종업원의 근속 연수와 임금 수준을 따져 이익 분배를 시작했어요. 매월 별도의 수표를 발행해 회사 이익의 일부를 제공했습니다. 회사 이익이 늘..

19세기 미국 대기업들이 우리사주제 실시?

19세기 미국 대기업들이 우리사주제 실시? “노동자들이 자사 지분을 보유하는 제도는 미국 경제의 중심적인 요소이며, 미국 건국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미국의 민간단체인 ‘종업원 소유권 재단’은 (Employee Ownership Foundation) 라는 글에서 (The History of Employee Ownership) 이렇게 밝히고 있습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조지 워싱턴, 벤자민 프랭클린, 토마스 제퍼슨도 노동자들의 지분 보유를 도왔다고 하죠. 미국 종업원 소유권 재단의 글 바로가기 우리 블로그 관련 글: 조지 워싱턴, 벤자민 프랭클린이 노동자들에게 지분을? 글에 따르면 미국에서 종업원 소유권은 오랜 전통을 유지했습니다. 19세기부터 미국의 대기업들은 일찌감치 우리나라의 우리사..

해킹에 코로나까지, 어느 노동자 소유기업의 위기

해킹에 코로나까지, 어느 노동자 소유기업의 위기 랜섬웨어란 사용자의 컴퓨터를 차단하고 대가를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기업으로서는 이만저만 골치 아프지 않죠. 심각한 사이버 공격에 시달리고 코로나 위기까지 맞은 노동자 소유기업이 있습니다. 설상가상이라고 할 만한데, 일단 어떤 회사인지 알아보죠. 미국의 스톤에이지(Stone Age Inc.)는 우리나라의 우리사주제와 비슷한 종업원 주식 소유제(ESOP. 이솝)를 통해 140여명의 직원들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유력지 (Forbes)가 소개하는 내용을 볼까요. 에 나온 스톤에이지 기사 바로가기 “대유행은 날로 심화하는 빈부격차와 인종적 불평등을 극명하게 부각시킨다. 콜로라도 소재 제조기업인 스톤에이지는 양극화를 완화하고 종업원들과 부를 나누기 위..

할리 데이비슨, 1억 달러 적자 극복할 파격 선언!

할리 데이비슨, 1억 달러 적자 극복할 파격 선언! 할리 데이비슨은 전 세계 라이더들의 로망이라고 합니다. 유려하면서도 선이 굵은 디자인, 격렬하고 묵직한 배기음을 떠올리면 그럴 수밖에 없다는 생각도 들죠. 영화 터미네이터2에서 주인공 아놀드 슈왈제네거가 몰았던 오토바이로도 유명합니다. 1903년 설립해 120년 가까운 역사를 자랑하는 할리 데이비슨은 최근 위기를 맞았습니다. 바이크 출하량이 절반 가까이 줄면서 2020년 4분기 매출이 32%나 감소했죠. 코로나 위기 탓도 있겠지만 미국의 오토바이 판매량이 16분기(4년) 연속 감소하면서 1억 달러 가까운 순손실을 기록했답니다. 연간 5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이 회사에서 과연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2020년 5월 할리 데이비슨 사장에 취임한 조첸..

창업자도 월급 못 받을 때, 해고를 합니다ㅜㅜ

창업자도 월급 못 받을 때, 해고를 합니다ㅜㅜ 코로나 위기로 세계 경제가 휘청거리면서 각국마다 기업 도산과 실업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우리 블로그에서 주로 다루는 종업원 소유기업도 위기를 피해가기 어렵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보다 해고가 훨씬 쉬운 미국에서는 더욱 그렇죠. 종업원 소유기업의 해고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해볼까 합니다. 얼마 전 세계적인 건축 디자인 회사 겐슬러(Gensler)도 해고를 단행했습니다. 이 회사는 6000명의 노동자들이 100% 지분을 소유하고 있죠. 초기 애플 스토어와 페이스북 본사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담당했고,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의 제2터미널 설계에도 참여했습니다. 겐슬러는 2019년 매출액만 14억 달러 (약 1조70000억원)에 달했습니다. 미국의 구인구직 사이트 글래스도어..

소통의 이야기 2020.10.08

“제프 베조스, 아마존 노동자들과 주식 나누라!”

“제프 베조스, 아마존 노동자들과 주식 나누라!” “제프 베조스 CEO가 보유하고 있는 아마존 주식 11.1%의 지분 가치는 총 1650억 달러에 달한다. 다른 고위 임원도 수백만 달러 상당의 자사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창고 근무자 같은 아마존 노동자 대부분은 이런 성과를 나누지 못한다.” 지난 6월말 로버트 라이시 UC버클리대학 교수는 에 기고한 칼럼에서 아마존의 행태를 통렬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는 클린턴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을 지냈고 오바마 대통령 재임 중엔 경제정책 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죠. 라이시 교수가 칼럼을 쓴 이유는 코로나 19 위기를 겪고 있는 미국의 빈부격차가 전례 없이 심해졌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베조스 CEO 등 최고 경영진의 주가가 수백억 달러 오를 때 아마존 노동자들은 큰 보..

경제민주 이슈 2020.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