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이사제 5

<파이낸셜 타임즈> “회사를 직원들에게 팔면 어떨까”

“회사를 직원들에게 팔면 어떨까” “당신의 회사를 소속 직원들에게 판매하면 어떨까? 더 많은 기업인이 종업원 소유권 신탁을 통해 (Employee Ownership Trust: EOT) 직원들의 충성에 보답하는 동시에 세제 혜택을 누리고 있다.” -, 2023년 2월17일 영국 경제지 는 지난 2월경, 자국에서 급증하는 노동자 소유권을 보도했습니다. 2014년 영국 정부는 EOT라고 하는 종업원 소유권 신탁을 제도화했죠. 2022년 현재 영국에서 EOT 기업은 1000개를 훌쩍 넘겼습니다. 의 EOT 관련기사 바로가기 우리의 우리사주제와 달리 EOT는 노동자 대신 회사가 지분 매입금을 부담하며 세제 혜택도 훨씬 풍부합니다. 비슷한 제도로 미국엔 종업원 주식 소유제(ESOP. 이솝)가 있죠. 특히 FT는 ..

경제민주 이슈 2023.03.13

뉴욕주 스타벅스의 지역 경쟁자, 노동자 소유로 바뀌다

뉴욕주 스타벅스의 지역 경쟁자, 노동자 소유로 바뀌다 “미국 스타벅스에서 경영진과 직원들 간의 싸움은 수없이 잦고 치열하죠. 회사와 노동자의 관계를 재정의하는 것이 협동조합의 모델입니다. 더 많은 노동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하면 더 큰 기업 이익을 창출할 뿐 아니라 자기 삶도 실제로 변해요.” 케이트 스미스 씨는 최근 노동자 협동조합으로 변신한 김미!커피(Gimme! Coffee)에서 종업원 소유주들의 직접 선거로 이사회 의장에 뽑혔습니다. 뉴욕주 이타카 시에 본사를 둔 김미!커피에서 2011년부터 임원으로 재직했죠. 김미!커피는 가 선정한 ‘뉴욕시 최고의 에스프레소 바’에 이름을 올린 바 있습니다. 규모는 작지만 이타카 지역에서 미국 스타벅스와 경쟁하고 있죠. 지역에서 주는 상도 여러 번 받았으니 과장이 ..

무려 150년 된 섬유회사 “노동자 소유·참여로 내부 혁신”

무려 150년 된 섬유회사 “노동자 소유·참여로 내부 혁신” “종업원 소유권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 회사에선 모든 사람이 합당한 권한과 목소리를 가지죠. 종업원들이 소유한 만큼 스스로 자랑스러워하고 조직에 참여하고 싶다고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1864년 설립된 스코트(Scott & Fyfe) 사는 스코틀랜드에 위치한 영국의 중소기업으로 역사가 무려 156년에 달합니다. 리넨 천 제조로 시작해서 현재는 강화 유리섬유, 자동차와 농기계 등에 들어가는 첨단 섬유와 산업용 직물까지 만듭니다. 1.5세기가 넘게 유지된 가족기업으로서 스코트 사는 세계대전과 경제 공황, 전염병 등 많은 시련을 겪었죠. 그만큼 끊임없는 혁신이 중요했습니다. 현재 혁신의 원동력은 바로 노동자 소유권과 종업원들의 참여 ..

공공부문 노동이사제, 가속도 붙을까

공공부문 노동이사제, 가속도 붙을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지난 11월 “공공부문 노동이사제는 결단만 하면 되고 당연히 해야 한다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야당이 반대하면 (국회) 패스트트랙을 통해서라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까지 선언했죠. 노동이사제는 추천·선출 등으로 선임된 노동자 대표가 기업 이사회에 이사로 참석해 발언권·의결권 등을 행사하는 제도입니다. 이재명 후보의 말처럼 노동이사제는 “공공기관이 공적 기능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직 공기업 등에 낙하산 논란이 많은데, 노동이사제는 낙하산 임원과 거수기 임원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되겠죠. 우리나라에서 공공부문 노동이사제는 서울시가 최초로 도입했고, 이재명 경기지사 재임 시절부터 경기도에서도 실시했습니다. 일부 공기관이 노..

공공기관, 낙하산 임원보다 노동이사가 낫죠

공공기관, 낙하산 임원보다 노동이사가 낫죠 지난 23일 대통령 직속의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는 공공기관에 노동이사제를 도입하는 데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노동이사제란 노동자 측이 추천한 인물을 이사로 임명해 이사회에 참석하는 경영참여 제도를 말합니다. 공공기관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자, 경영하는 기관으로 한국철도공사, 한국공항공사 같은 공기업은 물론, 국민건강보험공단 같은 준정부기관, 국립대병원, 국립암센터와 지방공사·공단, 각급 국·공립학교 등을 포괄합니다. 법 개정이 필요하지만(빨리 해주세요!!), 앞으로 모든 공기업과 공기관 등에 노동이사가 선임된다는 것이죠. 노동이사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사항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시가 최초로 도입했고, 이재명 지사 취임 이후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