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 이슈

글로벌 초대형 사모펀드 “노동자 소유권에 적극 투자할 것”

(협)소통^^ 2022. 11. 21. 12:38

글로벌 초대형 사모펀드 노동자 소유권에 적극 투자할 것

 

우리 전략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1년부터 KKR은 투자 목록 전반에 걸쳐

더 강력한 회사를 만들기 위한 동력으로

종업원 소유와 참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지난&nbsp; 10 월 초 나온  KKR 미주지역 본부의 <2021 년 지속가능성> 보고서 표지 . 제목은 '확장 (Scale Up)' 이네요 . 피트 스타브로스  KKR  미주지역 공동대표는 "강한 추진력으로 노동자 소유권을 성장시키겠다"고 밝힙니다 .

 

세계 3대 사모펀드로 불리는 KKR

피트 스타브로스 미주지역 공동대표는

종업원 소유권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 기업을 사들이는 과정에서

경영진이 아닌 일반 종업원들에게도

상당량의 지분을 제공하고

매각 과정에서 함께 이익을 얻죠.

덕분에 일부 노동자는 100만 달러,

14억 원 이상을 벌기도 한답니다.

 

3200명에 달하는 KKR(미주) 소속 직원도

기본급 외에 현금 보너스, 지분 보상 및

추가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에는 우리의 우리사주제와 비슷한

종업원 주식 소유제,

ESOP(이솝)이 발달했습니다만,

이 사모펀드는 자체적인

지분 소유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죠.

 

지난 10KKR

‘2021년 지속가능 보고서를 발표하고

그동안의 사업 내역을 공개했습니다.

2021년 현재 전 세계에

269억 달러(40조 원)를 투자했고,

관리 중인 자산은 4710억 달러,

680조 원에 달한답니다.

KKR이 얼마나 노동자 소유권에

비중을 두는지 한 번 들어볼까요.

 

2011년부터 KKR

직원 소유권 프로그램을 통해

25개 이상의 회사에서

45000명 이상의 비관리직 종업원에게

수십억 달러의 지분을 제공했습니다.

KKR은 전체 직원들에게

자본과 성장에 직접 참여할 기회를 부여해

회사의 모든 구성원을

소유자로 만들려고 합니다.”

 

특히 지분 참여뿐 아니라

의사결정 참여도 중요하게 봅니다.

 

“‘노동자의 목소리(worker voice) 제도를 통해

회사의 깊숙한 내부에서 특정한 의사결정권을

구체적으로 위임합니다.

기능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더 강력한 인력 운영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회사와 직원에 투자하죠.”

 

 

KKR 보고서 이미지 . KKR 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도 적극 투자한다고 밝힙니다 . 여기에도 상당액의 지분이 현장 및 일반 노동자들에게 주어지겠죠 . 이미지 : KKR 의 2021 년 지속가능성 보고서

 

피트 스타브로스 공동대표는 지난 5

노동자 소유권 확대를 위한 비영리단체

오너쉽 워크(Ownerhip Works)

출범하기도 했습니다.

글로벌 금융기관과 대형 사모펀드 등이

5000만 달러를 모으기로 했고

종업원 소유 모델도 새로 개발할 예정이죠.

왜 종업원 소유권에 주목하는지

스타브로스 대표가 직접 밝힙니다.

 

나는 건설 노동자의 아들로 자랐어요.

아버지는 노동조합에서

항상 이윤 공유제를 옹호했습니다.

25년 전 나는 운 좋게도

종업원 주식 소유제, ESOP을 알고

경영대학원에서 집중적으로 공부했습니다.

몇 년 뒤 내가 KKR

미주지역 산업 부문을 이끌 때

소유권 공유 모델을 적용할 수 있었죠.”

 

효과가 있었을까요.

 

소유권 공유와 종업원 참여를 결합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목격했습니다.

엄청난 양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하죠.

회사의 리더십이 열정적일 때

종업원 소유권은 가장 잘 작동해요.

금융 교육도 필요합니다.

노동자는 재무 정보를 완전히 이해하고

자기 지분의 가치를 최대한 활용하죠.”

 

종업원 참여 전략에 대해서도

스타브로스 대표는 설명합니다.

 

“‘노동자의 목소리를 통해 공장 직원들은

일부 자본의 지출을 직접 결정합니다.

우리는 직원들에게 투자하는 것이죠.

현장 건강 클리닉 운영,

새로운 휴게실 설치, 안전 개선,

정보의 투명한 공개가 포함됩니다.

이직률, 안전도, 생산성, 품질 등

여러 지표들로 성과를 검증하죠. ”

 

 

"지속 가능한 투자 - 우리는 투자를 통해 커다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습니다." KKR 의 종업원 소유권 모델은 투자 대상 기업의 종업원들이 총 3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다고 합니다 ( 모든 투자 대상 기업에서 이뤄지지는 않는 듯합니다만 , 노동자 지분율은 상당히 큽니다 ). 지분은 모두 무료 제공이고 금융 교육과 재무정보 공개 , 작업장 수준의 의사결정 참여도 이뤄지죠 . 이미지 : KKR 의 2021 년 지속가능성 보고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글로벌 사모펀드의 대표인지

사회 사업가인지 모를 정도로 말합니다.

 

우리는 강한 추진력과 전략으로

종업원 참여 모델을 성장시킬 겁니다.

최근에는 (오너십 워크를 통해)

여러 파트너와 함께 광범위한

종업원 소유권 프로그램을 개발 및 구현하고

회사에서 소유권 공유를 통해

번영을 누릴 계획입니다.

KKR의 성과가 있으니

더 넓은 경제 영역이 힘을 합치면

얼마나 영향이 클지 기대됩니다.”

 

사실 스타브로스 대표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습니다.

KKR의 모델은 단지 이익 추구의

수단일 뿐이라는 지적도 많죠.

다만 경제적 불평등 해소에

별 대안이 없는 우리나라의 정부와

정치권, 재계 인사들은

노동자 소유권을 참고해야 하지 않을까요.

글로벌 사모펀드 대표는 그렇다고 합니다.

 

누리집: http://cafe.daum.net/ecodemo

블로그: https://ecodemo-communicaitor.tistory.com/

문 의: sotong2012@hanmail.net